보도자료
보도자료
보도시점 : 즉시보도
배포일시 : 2025. 5.14.(수) / 총 5매 / 사진 있음
담당부서 : 연구기획처, 자율주행연구처
담당자 :
(연구기획처)
곽진호 처장 ☎(031)369-0211, 김남용 책임연구원 ☎(031)369-0216
(자율주행연구처)
김시우 처장 ☎(031)369-0401, 김학선 책임연구원 ☎(031)369-0408
TS, 車 첨단안전장치(ADAS) 이용 시 전방주시 필수
- 14일, 교통사고 모사상황 충돌여부 등 ADAS 시험결과 공개 -
- 차량 뒤 사람, 도로 가장자리 어린이, 45도 회전 차량 인식에 한계 -
□ 한국교통안전공단(이사장 정용식, 이하 TS)은 첨단안전장치(ADAS.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)을 이용하는 운전자에게 다양한 교통환경을 완벽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어 스마트폰 사용 등 전방주시 태만에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.
ㅇ TS는 자동차 전문 채널인 오토뷰와 공동으로 첨단안전장치 중 비상자동제동장치(AEBS. 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) 작동 여부에 대한 시험 결과를 14일 발표하였다.
ㅇ 비상자동제동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충돌위험을 감지하여 운전자가 적절히 반응하지 못할 경우 자동으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충돌을 방지하거나 충격을 줄이는 대표적인 첨단운전자 보조장치이다.
□ 시험은 운전자가 전방주시를 잘하고 있는 경우 충분히 회피가 가능한 3가지 시나리오로 ① 차량이 전방에 정차되어있는 경우와 추가적으로 정차된 차량 후미에 사람이 있는 경우, ② 차선 가장자리에 사람이 있는 경우, ③ 사고로 인해 차량이 45도 회전한 경우 3가지로 시험하였으며, 시험에 사용된 차량은 첨단안전장치가 장착된 국내 및 수입 승용 차량 6종으로 시험하였다.
*시험차량 : 320i(BMW), 모델Y(테슬라), 폴스타4(폴스타), EV6(기아), 그랑클레오스(르노), iX3(BMW)
ㅇ 차량이 전방에 정차한 경우에 대한 시험 결과 모든 차량이 정차된 차량 앞에서 정지하였고,
ㅇ 차량 고장을 모사하여 정차된 차량 후미에 사람이 있는 경우로 시험한 결과, 인체모형을 인지하여 정지한 차량이 3종, 자동차와 인체모형을 인지하지 못하여 충돌한 차량이 2종, 차량만 감지하여 인체모형 충돌 후 정지한 차량이 1종으로 나타났다.
ㅇ 도로 가장자리(도로내) 어린이 모형을 설치하여 시험한 결과 ADAS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 어린이 모형을 인지하여 속도를 줄이거나, 정지하여야 하지만, 시험결과 시험차량 6종 모두 인지하지 못하고 통과하였다.
ㅇ 마지막으로, 전방 교통사고를 모사하여 차량이 45도 각도로 주행 차선에 정차하여 있는 경우를 시험한 결과, 3개 차종이 차량을 인식하여 정지하였으나, 3개 차종은 충돌하였다.
□ 시험결과 정상적인 운전 상황에서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조건에서, 첨단안전장치에 의존할 경우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 다수 발생하였다.
ㅇ 자동차 모델별로 첨단안전장치가 전방 장애물을 인식하는 범위나 활성화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차량별 편차가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, 현재 기술로는 모든 교통상황을 스스로 대응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.
ㅇ 특히, 도로 가장자리에 체구가 작은 어린이가 있는 경우 감지되지 않을 수 있어 어린이보호구역, 좁은도로 운전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.
□ TS 정용식 이사장은 “첨단안전장치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는 조건에서 운전자를 지원하고,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스템이기 때문에 전방주시 태만에 주의가 필요하다”며,
ㅇ “또한, TS는 ADAS의 성능향상을 통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안전기준을 강화하고 자동차안전도평가에 적용하는 등 국민 여러분들이 보다 안전한 자동차 운행 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”고 밝혔다.
□ 한편, 시험 영상은 한국교통안전공단 공식 유튜브(youtube.com/@ts_kotsa) 또는 오토뷰 유튜브(youtube.com/@autoview2009)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.
[붙임1] 관련 사진
[붙임2] 시험시나리오
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교통안전공단 대외협력실 최근수 차장(☎054-459-7035)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.